2024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2024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 충청남도 리스트
2024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 충청남도 리스트
광고자리

충청남도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충청남도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통계

문화유적 문화유적수
기념물 3
무형문화유적 2
유형문화유적 30

충청남도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구분별 충청남도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기념물 향토문화유적 목록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소유주체
신인동 갓바위 예술·경관적 가치 사유
오교대 반석 예술·경관적 가치 사유
해암리 게바위 예술·경관적 가치 사유

무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 목록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소유주체
송악두레논매기 생업 사유
초가장 및 담장장 공예기술 사유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 목록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소유주체
효자김익생정려 건조물 사유
상침 송씨 묘역 묘 및 비 사유
갈곡 연정 건조물 사유
홍중징묘역 및 신도비 묘 및 비 사유
홍만조묘역 및 신도비 묘 및 비 사유
회룡리 3층석탑 건조물 사유
효자전효원정려 건조물 사유
오봉사 삼층석탑 건조물 사유
강주묘역 및 신도비 묘 및 비 사유
이간묘역 및 신도비 묘 및 비 사유
옥련암 소장유물 불상 및 불화 사유
효부동래정씨정려 건조물 사유
홍가신묘역 및 신도비 묘 및 비 사유
독성서사 건조물 사유
현충사 유허비 사유
인산서원지 사유
영인산성 건조물 사유
성내리 비석군 건조물 사유
용화사 미륵불 건조물 사유
열녀경주배씨정려 건조물 사유
열녀평산신씨정려 건조물 사유
조만영 영세불망비 건조물 사유
아산리 비석군 건조물 사유
임욱 영정각 건조물 사유
가락국왕 숭령각 건조물 사유
이봉상 신도비 사유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불상 사유
효부의령남씨정려 건조물 사유
강학년묘역 및 묘비 묘 및 비 사유
효자 정신비 건조물 사유

  • 향토문화유적명을 누르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아산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세부 정보

효자김익생정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금령김씨종중
  • 규모 건물1동+비석2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려는 밭의 일부를 정지하고 시멘트로 넓게 장방형의 구획을 한 다음 높은 기단을 구축하고 정ㆍ측면 1칸으로 건립하였다. 정려 사면의 하단부는 벽을 쌓고, 윗부분은 홍살을 둘렀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맞배지붕을 올렸으며 측면에 방풍판을 설치하였다. 정려 주위로 돌담이 둘러져 있다. 내부에는 영조 조에 동부승지를 역임한 임광필(林光弼, 1682∼1743)이1741년에 쓴 비각기가 걸려 있고, 그 아래에 두 개의 비가 세워져 있다. 1739년(영조 15)에 세워진 좌측 비석은 거북이를 모방한 듯한 방형의 대좌를 놓고 그 위에 규형의 비신을 세웠다. 비신의 내용은 ‘『李子金益生之閭』永樂 三年 三月 日立, 崇禎 後再己未 三月 日 改建’이다. 1980년에 새로 세운 비석은 방형의 대좌 위에 오석의 비신을 세우고 팔작지붕의 이수를 올리고 있다. 여기에는「李子 資憲大夫禮曹判書 省齋金生先生益生之閭 1980年 5月 日」이라 썼다. 한편 신비의 측ㆍ후면에는 김익생의 명정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바 내용은 앞에 설명한 것과 같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도산리 270-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효자김익생정려 검색 링크

상침 송씨 묘역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3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2-1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파평윤씨 충경공파종중
  • 규모 분묘1+묘표1+문인석1쌍+상석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상침 송씨 묘역은 왕실관련 유적이 거의 없는 아산시 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유적으로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지역화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묘표, 문인석은 조각 솜씨가 매우 뛰어나 예술성도 확보하고 있어 향토의 역사, 예술, 학술상 가치가 높음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오암리 산31-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상침 송씨 묘역 검색 링크

갈곡 연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임완선
  • 규모 건물2동+비석1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현재 마을에 평택임씨 갈곡공파가 전체 50가구 중 28가구가 거주하며 30년 전까지만해도마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택임씨였다.연정은 일제강점기까지 마을 어린이들이 공부하는 서당으로 사용하였으며, 20년 전까지마을내에 있는 대 대까지의 선조에 대한 7 ~16 시제를 지내다 이후로는 아무런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연정의 보존을 위해 매년 음력 10월 10일 연정에서 시제를 지내고 있다. 갈곡선생에 대한 시제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의 선영에서 매년 음력 10월 1일에 지내고 있다.연정 옆에 있는 마을회관이 종가 자리였으나 마을회관이 들어섬에 따라 자리를 내주고연정에서 30여m 떨어진 곳에 종가를 이전하였다. 마을회관 자리에 종가가 있었을 때는 연정과 종가 사이에 담이 없이 한 울타리 안에 있었으나 종가가 이전하고 나서 1982년 중수 시 기와와 흙담이었던 담을 지금과 같은 돌담으로 쌓았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화천리 479-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갈곡 연정 검색 링크

홍중징묘역 및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3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2-1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풍산홍씨 정익공파종회
  • 규모 분묘+묘표+상석+망주석+신도비 등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홍중징묘역 및 신도비는 아산지역 소재 조선시대 분묘 중 원형성이 잘 보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봉문의 전면부가 방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고 아울러 묘표는 성호 이익이, 신도비는 홍봉한이 쓴 것으로 금석문적 가치도 포함하고 있어 향토의 역사, 예술, 학술상 가치가 높음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 산22-16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홍중징묘역 및 신도비 검색 링크

홍만조묘역 및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풍산홍씨 정익공파종중
  • 규모 분묘1+석물9+묘표1+양조은포비1+신도비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홍만조 묘표는 방형 대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이수를 올린 비좌이수 형태의 비석이다. 홍만조의 묘 왼쪽에 있으며 화강암을 다듬어 별도로 만든 2매의 지대석을 놓고 그 위에 세워져 있다. 대석은 비석의 전체 규모로 보아 상당히 큰 편이며, 윗부분의 네 변을 깎아낸 것 외에 다른 장식 무늬 등은 없다. 비신과 이수는 하나의 돌로 조성하였으며, 비신의 너비에 비해 그리 넓지 않고 양옆을 직선에 가깝게 만든 이수는 전체적으로 보아 사각형 느낌이다. 이수의 앞쪽에는 용 한 마리, 뒤쪽에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비교적 얕게 조각되어 선명함이 덜한 편인데 앞뒤 모두 눈만 깊게 조각해 뚜렷하게 강조하였다. 비신 양옆으로 흘러내린 듯한 구름무늬가 이어져 있다. 비신의 앞면 비문은 ‘朝鮮崇祿大夫判敦寧府事兼判義禁府事 知春秋館事世第左賓客 洪公萬朝之墓 贈貞敬夫人 安東權氏右(조선숭록대부판돈녕부사겸판의금부사 지춘추관사세제좌빈객 홍공만조지묘 증정경부인 안동권씨부우)’라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음기가 새겨져 있고 끝에 ‘숭정갑신84년정미(丁未)’라 하여 1727년(영조 3)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옆면에는 홍중징이 비의 건립을 주도한 사실과 그의 관직을 길게 기록해 놓았고, 왼쪽 옆면에는 홍만조의 8대조 이하 조상의 묘소 이장 관련 사실을 적어 놓았다. 홍만조 신도비는 세교리 마을 길(휴대세교길)의 홍만조 묘역 입구, 묘 남서쪽 직선거리 100m 지점에 서 있다. 장방형 대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옥개석(지붕돌)을 올린 조선 후기 비좌개석 형식의 비석이다. 대좌는 상부의 네 변을 깎아 각을 줄였고, 옥개석은 규모가 커서 둔중하면서도 추녀의 반전, 두툼한 귀마루 등이 표현되어 있다. 비문은 권이진(權以鎭)이 짓고 증손 홍양한(洪良漢)이 글씨를 썼으며 역시 증손인 홍명한(洪名漢)이 두전을 썼다. 두전의 내용은 ‘崇祿大夫判敦寧府事贈領議政 晩退洪公神道碑銘(숭록대부판돈녕부사증영의정 만퇴홍공신도비명)’이다. 비문은 비의 사면에 걸쳐 새겨져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 산22-16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홍만조묘역 및 신도비 검색 링크

회룡리 3층석탑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영훈
  • 규모 석탑 1기
  • 조성시대 고려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삼층석탑 전면에 15년 전에 들어선 민가가 있기 전에는 멀리서도 삼층석탑이 보였으나 지금은 민가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석탑의 관리는 15년 전까지 석탑 뒤편에 살던 노부부가제초와 청소를 하였으나 모두 돌아가신 후 현재는 마을 이장이 주도가 되어 1년에 한두번 7월이나 추석 즈음에 주변 제초를 하는 정도이며, 특별히 주기적인 관리는 못하고 있다. 삼층석탑은 화강석으로 조성한 기단부, 탑신부, 그리고 상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단이 상륜은 본래의 모습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탑의 전체 규모는 250㎝의 높이를 지니고 있고 이중 기단은 95㎝의 높이를, 상륜은 25㎝의 높이인데 탑신부의 경우 초층의 옥신석이 크고 이와는 상당히 낮게 결구한 것이다. 기단을 보면 하단에 지대석으로 자연석을 두고 있으며 하층의 저석으로서 방형의 화강석 1매를 15㎝ 높이에 한변 120㎝의 하층기단 저석을 이루고 있다. 그 위에 상대 중석으로서 4매의 판석을 결구하여 올리고 있는데 우주나 탱주의 표현이 없는 화강석이다. 상대의 갑석은 상하석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방형의 석판형태를 사용하는바 한변이 105㎝의 키기이다. 탑신부는 초층의 옥신석이 50㎝의 높이를 지니고 있는 1매석으로 각 모서리에 우주를 조출하여 결구하였으며 옥개석은 낙수면의 경사가 심하나 전각의 반전이 없는 것을 좁게 4단의 층급받침을 두어 올리고 있다. 이 옥개석의 상단에는 옥신 받침이 두껍게 표현되어 있다.옥신석의 경우 2층과 3층은 높이가 10㎝ 내외로 낮은 형태이고 옥개석은 3층의 경우 층급받침이 3단만 이루어져 있다.상륜은 본래의 석탑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잡석형태를 두 개 올려 표현한 것인데 정확한 형태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회룡리 83-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회룡리 3층석탑 검색 링크

효자전효원정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천안전씨종중
  • 규모 건물1동+비석1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전효원(全孝源, 1760~미상)은 천안전씨로 정려가 자리한 아산시 배방읍 회룡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터 기골이 장대하였다고 하며, 총명하고 영리한데다 온화한 성품과 지극한 효성으로 항상 부모의 뜻을 따랐다. 또한 형제간에도 남다른 우애로 부모님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부모님의 병환에는 머리맡을 떠나지 않았는데,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드려 7일간을 더 회생하게 하였다. 그러나 결국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니 그의 애통함은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케 하였다. 이에 도내 유림들이 전효원의 효행을 기록하여 상소하니 조봉대부 동몽교관(朝奉大夫童의 벼슬과 효자 정려를 내렸다 정려는 蒙敎官) . 배방읍 회룡리 남쪽 불처당 길가에 세워져 있으며, 정려기에 ‘孝子學生全孝源之閭 上之七年辛丑命銘旌閭’라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정려 내부에 세워진 별도의 효자비에 ‘孝子碑 孝子天安全孝源 文孝公栢軒后’라 쓰여 있으며, 하단 일부가 훼손되었다. 비석은 1843년(헌종 9)에 세운 것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회룡리 산48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효자전효원정려 검색 링크

오봉사 삼층석탑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5-08-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봉사
  • 규모 석탑 1기
  • 조성시대 고려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봉사 경내에 위치한 삼층석탑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웅전 앞 석축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석탑의 기초가 없어 다른 장소에서 옮겨진 것으로 추측된다.새로 마련한 화강암 대석위에 안상이 새겨진 하층기단이 있고, 그 위에 상대중석과 상대갑석이 있다. 3층의 탑신과 옥개석이 있으며 옥개석 위쪽의 상륜부는 없어졌고 상대갑석의 옥신괴임이 매우 높게 조성되어 있다. 옥신괴임과 1층 옥신의 크기가 맞지 않아 서로 다른 부재를 맞춘 듯하며 옥개석이 매우 두꺼우며 옥개석의 형태를 통해 고려시대 석탑으로 추정 되어 왔다. 석탑 내부에서 확인된 다음의 명문을 통해 雍凞四季丁亥二月日(1행) 菩薩戒第子湯井郡(2행) 第二戶長鄭弘廉矣(3행) 등 총 8행으로 구성되어 조성시기 옹희4년(987), 조성지역(탕정군) 및 발원자(정홍염)를 확인할 수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설화산길 156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오봉사 삼층석탑 검색 링크

강주묘역 및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주강씨 죽창공파종중
  • 규모 분묘1+석물7+묘표1+신도비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중기의 문신 죽창 강주(姜, 1567~1650)의 묘소에 있는 묘표다. 강주의 묘소에는 봉분 앞의 묘표 외에 상석과 향로석이 놓여 있다. 향로석과 좌우의 문인석, 망주석 등의 석물은 상당히 고풍스럽고, 모양과 조각 솜씨가 아름다울 만큼 뛰어나다. 계체석도 보기 드물게 큰 장대석을 이용했다. 당시 충청도 관찰사였던 아들 강백년이 무척 공 들여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대리암으로 만든 비신은 윗부분이 둥근 원수(圓首) 형태의 비갈이며 입자가 치밀해서 질이 좋은 석재를 이용했다. 대좌는 석질이 거친 화강암이고 일부가 파손되었으며 특히 비좌 부분이 비석에 비해 커서 맞지 않는다. 풍화도 상당히 진행되었지만, 윗부분의 복련 무늬와 앞면의 안상 두 개 등이 신도비의 대좌와 비슷하다. 비신과 대좌가 맞지 않는 이유는 확인되지 않는다. 묘표의 앞면에는 ‘有明朝鮮 贈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左議政兼 領經筵監春秋館事 世子傅行折衛將軍 僉知中樞府事 知製敎 姜公之墓 贈貞敬夫人 安東金氏左(유명조선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겸 영경연감춘추관사 세자부행절위장군 첨지중추부사 지제교 강공지묘 증정경부인 안동김씨부좌)’라 새겨져 있다. 뒷면의 음기에 따르면 이 묘표는 1654년(효종 5)에 세워졌으며, 비문은 맏사위인 시암 조상우(趙相禹)가 짓고 강주의 차남이자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강백년(姜栢年)이 썼다. 강주 신도비는 아산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도비다. 장방형 대석 위에 비신을 세우고 이수를 올린 이른바 ‘비좌이수’ 형태이다. 비신이 상대적으로 좁고 얇아서 날렵하고 세련되어 보인다. 화강암 대좌는 윗부분이 약간 높게 처리하고 복련을 조각하였으며 비를 꽂는 비좌는 테를 표현하였다. 앞면과 뒷면에는 음각으로 칸을 구분하여 각 하나씩의 안상을 조각하였고 양 옆면도 하나의 안상을 조각하였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수는 하단에 연잎들을 배치하고 그 위에 앞쪽은 한 쌍의 용을, 뒤쪽에는 한 마리의 용을 조각하였다. 이수의 매우 정교하고 뚜렷하여 아름답게 느껴질 만큼 뛰어난 조각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대리암으로 조성된 비신에는 앞 뒷면에 작은 글씨로 비문이 빼곡하게 새겨져 있다. 윗부분의 두전은 ‘贈左議政竹窓姜公神道碑銘(증좌의정 죽창강공 신도비명)’이다. 비문은 김시국(金蓍國)이 짓고 유심(柳)이 글씨를 썼으며 김광욱(金光煜)이 전서를 썼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궁평리 산5-6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강주묘역 및 신도비 검색 링크

이간묘역 및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예안이씨 문정공파종중
  • 규모 분묘1+석물5+묘표1+신도비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후기 온양 지역의 대표적 유학자인 외암 이간[李柬, 1677년(숙종 3)~1727년(영조 3)]의 신도비다. 비는 장방형의 대좌 위에 오석(烏石)의 비신을 세우고 팔작지붕 형태의 머릿돌을 올린 이른바 비좌개석 형식이다. 대석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고 옥개석(지붕돌)은 좌우 너비가 약간 좁은 편이다. 비신은 네 면에 비문이 빼곡하게 새겨져 있다. 두전에는 ‘諡文貞公巍巖李先生神道碑銘(시문정공 외암이선생 신도비명)’이라 쓰여 있다. 지돈녕부사 홍직필(洪直弼)이 비문을 짓고 전 판돈녕부사 윤용구(尹用求)가 글씨를 썼으며, 외암 이간의 6대손이며 규장각 직학사를 지낸 이정렬(李貞烈)이 두전을 썼다. 외암 이간이 죽은 지 198년이 지난 1924년 3월에 세워졌다. 외암 이간의 묘는 송악 유곡리에 있었는데 1811년(순조 11)에 마을 북서쪽, 지금의 위치로 이장하였다. 『순조실록』에 의하면, 그 전해(1810년)에 논의가 시작되어 1811년에 왕명으로 이간에게 문정(文正)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그 일을 계기로 현 위치로 묘를 옮긴 것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210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이간묘역 및 신도비 검색 링크

송악두레논매기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생업
  • 지정일자 2014-03-2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박용선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송악두레논매기는 평촌리 출신인 현 회장인 박용선(1965년생)은 어렸을 때부터 마을에서상쇠와 벅구잽이 등 풍물을 치던 조부인 고 박일복에게 ‘퉁퉁이’ 장단과 풍물을 배웠다.결혼 후 평촌리에서 출퇴근을 하며 온양 시내에 가게를 하며 살던 박용선 회장은 1997년전 송악으로 이주한 후 마을 어르신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일을 찾다 어렸을 때 배웠던 풍물을 하기로 하고 2002년 2월 22일 ‘송악풍물연구회’가 결성되었다. 이 후 2004년 송악풍물 연구회는 마을의 어르신들과 기존 연구회 회원들을 중심으로 ‘송악풍물두레논매기보존회’를 재탄생하였다. 이후 매년 송악두레논매기 보존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송악두레논매기보존행사는 2004년 1회부터 2007년 4회까지는 실제 만물 매기 시점인 7월 초·중순에 재연행사를 했다. 2008년 5회부터 행사일을 5월초로 옮겨 행사를 치렀는데 그 이유가 송악면에는 어르신들을 위하는 경로위안잔치가 없으니 행사일을 옮겨 겸해서 치르자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논매기 회원 중 논에 들어가 소리를 하고 피를 뽑는 사람들이 대부분 고령의 어르신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의견이 받아들여져 논매기보존행사는 5월 8일 어버이날이 있는 주의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개최되었다. 하지만 시연 내용 중 모심기 소리가 있다고는 해도 모내기철에 논매기 소리를 주로 한다는 것이 시의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2010년에는다시 7월 초로 환원되었다. 이후 2012년까지 6월 말~7월 초에 개최하다 2013년에는 5월 8일 어버이날 행사를 개최하였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582-4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송악두레논매기 검색 링크

초가장 및 담장장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 지정일자 2014-03-2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성주화 등 11인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초가장은 볏짚으로 지붕을 잇는 이엉잇기의 장인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 외암마을에서 이엉잇기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11명정도이다.마을에는 모두 돌담으로 되어 있고, 초가 이엉잇기를 하는 사람들이 모두 돌담도 쌓고 있으며, 돌담쌓기도 마을 어른들로부터 자연스럽게 익힌 것이라고 한다. 집을 다 짓고 나면 마지막으로 담장을 쌓는데, 담장에는 토담이 가장 많고 다음이 돌담이다. 현재 외암마을의 담장은 대부분 돌담으로 예부터 마을 사람들이 직접 쌓았다. 담장을 쌓는 장인들은 초가장의 장인들과 같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 42-7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초가장 및 담장장 검색 링크

신인동 갓바위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기념물 제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예술·경관적 가치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파평윤씨종중
  • 규모 자연석 3점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현재 갓바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와 문화재 안내판은 2006년 아산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후 겨울에 설치하였다. 갓바위에서 마을에 살고 있던 무당이 1956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음력 정월 초하루에 고사를 지내다가 무당이 돌아가시고 난 후 고사를 중단하였다. 이 후 마을에서 약 5년 정도 매년 음력 2월 1일 오전 10시쯤 마을 사람들이 호당 거출하여 떡 한시루, 북어, 술, 돼지머리, 삼색실과를 제물로 준비하여 고사를 지냈다. 이 외에도 집집이 각자 부녀자들이 개인적으로 음식을 준비하여 치성을 드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고사는 마을에 교회를 다니는 사람들에 의해 반대가 심하고 고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가는 사람이 없어 중단되었다. 마을 사람 중 올해 환갑이 되신 부녀자가 고사를 지낼 때 아들 낳아달라고 빌었는데 얼마 후 임신을 해서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 아들을 낳은 주민은 현재 마을을 떠나 온양 시내에서살고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신인동 14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신인동 갓바위 검색 링크

옥련암 소장유물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상 및 불화
  • 지정일자 2014-08-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옥련암
  • 규모 불상 및 불화 5점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옥련암 소장유물은 불상 4점과 불화 1점으로 구성되어 있다.불상은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삼존불좌상 3점과 대웅방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보살좌상이다. 19세기 불상양식을 계승한 1934년에 조성된 불상이다. 20세기 초 서울경기지역과의 영향관계 및 불교조각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불화 1점은 석가모니불도로 가로로 긴 화면을 크게 삼등분하여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모니불상을 비롯하여 문수`보현보살과 가섭`아난존자 등 5존상을 중앙부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왼쪽에는 관음보살상 2위와 사천왕상 2구와 세 제자상을 오른쪽으로는 세지보살좌상과 지장보살상 및 세 제자상과 사천왕상 2구를 배치시켜 좌우대칭구도를 보이고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신정호길 96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옥련암 소장유물 검색 링크

효부동래정씨정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종환
  • 규모 건물1동+비석2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려는 동-서 방향으로 뻗은 구릉의 78부 능선에 넓은 구역을 설정하고 정·측면 1칸의 규모로 건립하였다. 지금의 정려는 2002년 중수 한 모습으로서, 양회와 막돌을 이용하여 방형의 기단을 구축하고 높은 팔각 주초석을 놓고 그 위에 원주를 세웠다. 홍살은 목재로 하여후면을 제외한 삼면의 하방 위에 설치하였다후면은 전체를 회벽으로 처리하였다. 가구양식은 초익공 계통으로 하였고, 처마는 겹처마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측면에는 박공널 밑으로 중방의 위치까지 부채꼴 형태의 방풍판을 설치하였다. 정려의 안에는 명정 현판(1736년, 196×36㎝)과 정려 중수기(1934년, 115×33㎝), 효부정려략기(2002, 115×41㎝) 및 행장비(2002년, 58×160×28㎝, 총 높이 190㎝)가 있다. 명정현판은 후벽의 맨 위에 걸어 놓았는데 내용은 ‘孝婦宣略將軍行宣傳官吳道彬之妻令人東萊鄭氏之閭 丙辰年 月 日 命旌’이라 하여 1736년(영조 3년)에 명정이 내렸음을 알 수 있다. 명정 현판의 바로 아래에는 정려중수기를 걸어 놓았는데 내용을 요약하면 ‘영조 12년에정려를 하사받은 이래 후인들의 귀감이 되었는데 불행하게도 1875년(고종 12) 을해 7월에있었던 태풍으로 인하여 파괴된 것을 1934년 6월 15일 후손 오한영을 중심으로 중수’ 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신달리 501-5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효부동래정씨정려 검색 링크

홍가신묘역 및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남양홍씨 문장공파종중
  • 규모 분묘2+석물6+묘표2+신도비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홍가신 묘표는 홍가신(洪可臣, 1541~1615)의 묘소 앞에 세워져 있다. 대리암(속칭 대리석)으로 만든 장방형 대좌 위에 머리 부분을 둥글게 만든 원수(圓首) 형, 또는 갈(碣) 형 비신을 세웠다. 대좌는 윗부분의 네 변을 둥글게 다듬어 각을 없앴다. 역시 대리암으로 만든 비의 앞면에는 오른쪽(바라볼 때 왼쪽)에 ‘崇政大夫寧原君致仕洪公可臣之墓(숭정대부영원군치사홍공가신지묘)’, 왼쪽에 ‘貞敬夫人載寧李氏左(정경부인재령이씨부좌)’라 새겨져 있다. 홍가신 묘표가 특별한 점은 뒷면의 음기(묘비명)를 홍가신 스스로가 지은 명(銘), 자명(自銘)을 새겨 일찍이 묘비를 세웠었던 점이다. 음기의 맨 끝에 기록된 ‘만력 무신년 12월 25일 찬’한, 즉 선조 41년(1608) 12월 25일에 찬한 사람이 바로 홍가신이다. 그러나 그 비석이 세월을 이기지 못하여 200여 년 뒤인 1830년에 다시 비석을 만들어 새긴 것이 지금의 이 홍가신 묘표다. 그런 사실이 비의 오른쪽, 바라보며 왼쪽 옆면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萬曆四庚寅閏四月 日 八代孫始祿改建 九代孫圭璜謹書(만력사경인윤사월 일 팔대손시록개건 구대손규황근서)’ 홍가신의 신도비는 아산지역의 신도비 중 유일하게 자연 바위 위에 비신을 세우고 지붕 형태의 옥개석을 올린 비석이다. 지붕돌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며 처마 선이 얇고 수평의 직선이다. 귀마루(추녀마루)는 굵고 뚜렷하게 표현되었고 끝을 올려 반전을 표현하였다. 비문은 조경(趙絅)이 짓고 글씨는 김세흠(金世欽)이 썼으며, 권규(權珪)가 두전의 전서를 썼다. 두전에는 ‘判書致仕 贈右議政 諡文莊公 晩全洪先生神道碑(판서치사 증우의정 시문장공 만전홍선생신도비)’라 쓰여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 76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홍가신묘역 및 신도비 검색 링크

독성서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임종순
  • 규모 건물2동+비석1기+편액1점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독성서원(獨醒書院)은 본래 경향 유림들의 발의로 철종 9(1858)년 독성서사(獨醒書社)로 세워 해마다 제향을 받들어 오다가 만 10년되던 해 고종 5(1868)년9월 대원군의 훼철령(毁撤令)으로 헐려진 것을 2004년 4월 30일 복설(復設)한 서원으로서 배향위는 효정공(孝貞公) 죽실(竹室) 임홍망(任弘望)(1635~1715), 충정공(忠定公) 강개옹(慷槪翁) 임창(任敞) (1652~1723), 충헌공(忠憲公) 서재(西齋) 임징하(任徵夏) (1687~1730), 문경공(文敬公)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1811~1876) 4위 선생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동정길213번길 37-10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독성서사 검색 링크

현충사 유허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3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2-1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충남교육청(충무교육원)
  • 규모 비석1+관련 석물
  • 조성시대 대한제국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현충사 유허비는 최초 현충사의 규모와 위치를 어느 정도 추정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1905년 11월 을사늑약으로 일제가 국권을 침탈하자 지역의 유림들이 민족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세운 역사성을 가지고 있어 향토의 역사, 학술상 가치가 높음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438-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현충사 유허비 검색 링크

인산서원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2-1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함양박씨 잠야공파종중
  • 규모 서원터 1개소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인산서원은 아산지역 최초로 설립된 서원이며, 지역이나 학맥과 관계없이 호서지역에서 최초로 ‘동방 오현(五賢)’인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을 봉향하였다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과 관련된 인물인 홍가신, 기준, 이지함, 박지계, 이덕민을 추향함으로써 향토의 역사, 학술상 가치가 높음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서원리 15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인산서원지 검색 링크

오교대 반석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기념물 제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예술·경관적 가치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정숙
  • 규모 자연석 1기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교대의 원래 위치는 전해지지 않으며 팔경시에 전해지는 반석이 마을 가운데 있으며 마을 내에 귀산 김구와 관련된 유일한 유적이다. 현재 마을 가운데 민가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마을에서 따로 관리는 하고 있지 않다. 원래 반석 전면은40~50년 전까지 연못이 있었으며 그 후 논으로 변하였다가, 지금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구성리 355-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오교대 반석 검색 링크

영인산성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영인면
  • 규모 성벽 200m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영인산 정상부에 축조되어 있는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영인산은 이 일대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영인면과 인주면, 염치면 등의 경계가 되고 있으며, 남에서 북으로 뻗어 있는 산상의최북단에 축조되어 있어 전망이 매우 좋아 아산 일대가 모두 시야에 들어온다. 북으로는 영인면과 인주면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고, 멀리 아산만과 안성천, 그리고 평택까지도 한눈에 조망되어 아산만에서 삽교천으로 들어가는 통로를 감시할 수 있다. 남쪽으로도 아산을 동서로 관통하는 곡교천과 그 주변이 한눈에 들어오며, 곡교천 너머로 학성산서이 건너다 보이기도 한다. 동벽은 지세가 비교적 완만한 곳으로, 성벽이 심하게 부괴되어 있으나 2.5m 정도의 높이고 편축식으로 축성하였다. 지형적으로 볼 때 이곳은 성내에서 지대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성내의 물이 모두 이곳으로 모이게 되어있다. 따라서 여기에 배수구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남벽은 성벽의 잘 간직하고 있다. 성벽은 세로 10㎝ 내외, 가로 40㎝, 석재 뿌리 20~30㎝ 되는 납작한 돌들을 이용하여 4.7m 높이의 바른층 쌓기로 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축성방법은 배방산성의 남벽에서도 볼 수 있는 축성법이다. 서벽은 동벽보다 지세가 더 험준하다. 세 개의 봉우리가 연접하면서 형성한 두 개의 골짜기 부분에는 성벽의 흔적을 확인할 수 없다. 이것이 원래부터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축성지 않았던 것인지, 아니면 축성을 하였으나 후대에 붕괴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북벽은 서북쪽에서만 석축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지는 동문지와 서문지가 있는데, 동문지는 주변의 경사가 성 전체를 통해서 가장 완만한 지역으로 주변이 모두 파괴되어 있어 자세한 현황을 알 수 없으나 너비 3m로 성벽이 단절되어 있어 문지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서문지는 성벽이 통과하는 지역 중에서 레벨 고도가가장 낮으면서, 서벽 중에 경사가 가장 완만한 지역이다. 이 곳 역시 대부분이 붕괴되어 있으며, 지형상으로 보아 출입문 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건물지 지는 성내 남반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탑이 들어서 있어 모두 훼손되어 주변에 기와편만이 남아 있다. 서문지 근처에 우물과 저수지도 발견되고 있다. 성내 곳곳에서는 다수의 기와편이 발견되고 있는데, 회백색과 회청색의 경질 기와로 대부분이 두께 2㎝ 미만이며, 배면에는 선조문, 격자문이 시문되어 있다. 이 산성에 대해서는 《新增東國輿地勝覽》 牙山縣條에 “蘇城山城 其頂有古城二連築其城一築周四百八十尺高十尺內有一井天早禱雨其南城土築周四百八十尺高四尺昔平澤人避亂僑寓仍號平澤城”라고 한 것이 이 성이 아닌가 한다. 영인산성은 아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고, 둘레가 약 1㎞에 달하는 아산지역에서는 규모가 제일 큰 산성으로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상성리 산29-1(영인산 정상부)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영인산성 검색 링크

성내리 비석군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함부광
  • 규모 비석12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성내리비석군은 원래 성내저수지의 자리에 세워졌던 비석들인데 1958년 저수지를 조성하면서 곳곳에 방치되었다. 이를 마을주민들이 힘을 모아 쇠재마을 입구에 모아 세웠으며, 이 것이 다시 퇴락하자 1976년 비로소 지금의 위치에 정비하였다. 비석은 총 12기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산24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성내리 비석군 검색 링크

용화사 미륵불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영균
  • 규모 석조불상 1기
  • 조성시대 고려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통견의 불의를 입고 삼도와 육계가 표현된 불상형식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얼굴표정에 위엄이 있고, 옷주름이 패턴화된 가운데도 손가락이나 팔뚝 등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두부와 신부의 석재가 상이한 것으로 보아 각자 따로 조각하여 제작한 후 연결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송악면 외암리 용화사에 위치한 석가여래입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하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신봉리 산139-73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용화사 미륵불 검색 링크

열녀경주배씨정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하재용
  • 규모 건물1동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려는 정·측면 1칸으로 팔작지붕의 익공양식으로 비교적 화려하다. 방형의 시멘트 기단위에 목재로 기둥을 올린 후 그 위에 지붕을 얹었다. 사방에 홍살을 둘렀으며 내부에는「烈女慶州裵氏之閭 堂宇庚寅 命旌」이라 쓰여 진 명정현판이 걸려있다. 또한『진양하씨대동보』에 강건(姜健)이 찬한 정려기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신운리 292-4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열녀경주배씨정려 검색 링크

열녀평산신씨정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고형탁
  • 규모 건물1동+비석1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길가의 민가 옆에 퇴락된 형태로 남아있는 정려는 방형의 대지 위에 막돌 주초석을 놓고 그 위에 원주를 세우고 초익공식으로 가구하였다. 정면과 측면 1칸 규모로 전면을 제외하고나머지 하방 이하는 시멘트벽으로 구축하였고, 그 위에 철제 홍살을 시설하였다. 창방과 도리 사이에는 소로를 놓아 받쳤으며,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은 익공식의 팔작지붕이다.정려의 안에는 중앙으로 명정 현판이 걸려 있으며, 그 아래로 명정 비가 세워져 있는데, 현판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비는 방형의 대좌 위에 규형의 비신을 세웠다. 명정현판과 비의 내용에는 차이가 없는데, 현판에는「烈女平山申氏之閭 當辛亥命旌」(150×25㎝)이라 각서 하였고, 비의 전면에는 「烈女申氏旌閭碑」(31.5×75×12.5㎝)라 각서하였다. 뒷면에는 수백년간의 풍해로 인해 글자가 많이 훼손되었으며 육안으로 글자 식별이 어려운 상황이나 현재까지는 식별할 수 있는 내용으로는 「憲宗戊申○旌閭○○八月建」이라 쓰여 있어 명정 연도와 건립연대를 각서 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230-7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열녀평산신씨정려 검색 링크

조만영 영세불망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영인면
  • 규모 건물1동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비각은 정측면 각 1칸의 규모로 비석의 높이보다 훨씬 높게 지어졌는데 한때 심하게 퇴락한 것을 현재는 보수 한 상태이다. 비석 전면에는「영돈풍은부원군조공만영영세불망비(領敦豊恩府院君趙公萬永永世不忘碑)」라 새겨져 있으며, 4련시로 ‘曺施設 隨時建白 惠洽枯永漕’이라 하여 조만영의 행적을 칭송하고 있다. 조만영은 마을에 반조(曺)시설을 할때 수시로 의견을 아뢰어 시혜를 받을 수 있도록 애쓴 인물이라 전한다. 비석의 크기는 비신(166×54.8×28), 머릿돌(78×110×40)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233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조만영 영세불망비 검색 링크

아산리 비석군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영인면장
  • 규모 비석10기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아산리 비석군은 원래 영인면사무소 앞 도로변에 있던 것을 20여 년 전 면사무소 안으로 이전하여 세운 것이다. 현감 이지함 영모비 등 총 10기의 비석이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445-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아산리 비석군 검색 링크

임욱 영정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장흥임씨 종중
  • 규모 건물1동+영정+교지 등 20여점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전라좌수사를 지낸 임욱(任, 1680~1736)의 영정을 모신 건물이다. 영정은 1728년(영조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안성-죽산전투에서 공을 세워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에 1등으로 책봉되어 하사 받은 것이다. 영정은 원래 영인면 월선리 종손가에서 보관하며 제사때 마다 활용하던 것을 1978년 영정각을 지어 임욱과 아버지 임수창, 아들 임재대 3대를 함께 모시고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월선길120번길 16-8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임욱 영정각 검색 링크

가락국왕 숭령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가락종친회
  • 규모 건물1동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숭령각은 1960년 3월 6일 동암리를 중심으로 하는 아산, 천안지역의 김해김씨 종친회에서 매년 3월 12일 김해에서 지내는 김수로왕에 대한 대제를 지내기 위해 참석하였으나 원거리로 인한 대제 참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종중 위토인 지금의 자리에 숭령각을 세우고 김해에 있는 김수로왕 부부의 영정과 똑같이 제작하여 봉안하고 매년 음력 3월 15일 오전 11시에 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숭령각을 지을 당시 동암리를 중심으로 하는 아산, 천안에 거주하는 김해김씨 종친회에서 건립과 더불어 대제를 지냈으나 30여년 전부터 천안 김해김씨 종친회에서는 참석을 거의 하지 않고 관리와 운영도 대동에서 하던 것을 아산 김해김씨 종친회로 이관되어 관리하고 있다. 현재 대제에 참석하는 종원들은 대략 30~70여명 정도이고 참여지역은 아산, 홍성, 예산, 당진 등에서 하고 있다. 숭령각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동서남북을 두르고 있는 담장 일곽과 3칸의 솟을대문으로 출입을 한다. 내부엔 김수로왕과 허황옥 부부의 영정사진이 걸려있으며, 돗자리와 제기 등의 물품들이 한 옆에 놓여져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동암리 524-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가락국왕 숭령각 검색 링크

이봉상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덕수이씨 충무공파종중
  • 규모 신도비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충무공 이순신의 5대손 충민공(忠愍公) 이봉상(李鳳祥, 1676~1728)의 신도비다. 이 신도비는 1746년(영조 22) 건립되었다. 비는 장방형 대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지붕돌(옥개석)을 올린 비좌개석 형식의 단정한 비석이다. 비문은 이재(李縡)가 지었고 민우수(閔遇洙)가 글씨를 썼으며 유척기(兪拓基)가 두전 전서를 썼다. 비신 앞과 뒤에 비문을 새겼고, 두전 내용은 ‘忠臣忠淸道兵馬節度使贈左贊成諡忠愍李公神道碑(충신 충청도병마절도사 증좌찬성 시충민이공 신도비)’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 산2-7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이봉상 신도비 검색 링크

해암리 게바위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기념물 제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예술·경관적 가치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하진순 외 3인
  • 규모 자연석 1군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염치읍에서 현대자동차공장으로 가는 624번 지방도로를 따라 7.3㎞ 지점에 해암2리(신성마을) 마을 회관 뒤 논 옆에 자리하고 있다. 1979년 삽교천방조제가 조성되기 전까지는 게 바위 주변까지 갯물(바닷물)이 들어왔으며 해암1리(긔해, 거해) 마을 쪽에 배가 정박하던 나루가 있었다. 현재 게바위 주변은 잔디와 석재로 말끔히 정비되어 있으며 1986년 7월 15일에 세워진비석과 아산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설치된 문화재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197-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해암리 게바위 검색 링크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상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대윤사
  • 규모 석불 1구
  • 조성시대 고려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3리 대윤사의 본전인 대각전에 모셔져 있다. 자연석으로 만든 대좌 위에 서 있으며 머리 위에는 자연석 갓이 올려져 있다. 아산의 옛 석불 중에서 환조로서 뒷면까지 잘 다듬어져서 완전한 입체로 조성된 드문 불상이며 하나의 커다란 화강석으로 조성하였다. 변형된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보살상이며, 어떤 보살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아주 오래전부터 미륵, 미륵불로 일컬어졌다. 보관 위의 갓, 즉 자연석 판석과 둥근 돌은 한데에 서 있는 미륵을 보호하기 위해 후대에 올린 것이다. 얼굴(상호)은 풍만하고 입가에 미소가 표현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넉넉한 느낌을 준다. 백호는 표현하지 않았고 코는 작은 편이며, 귀는 턱선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다만, 눈 코 입을 깊게 조각하지 않아 얼굴을 옆에서 보면 입체감은 좀 떨어진다. 목은 굵고 짧으며 삼도(三道)는 표현하지 않았다. 법의는 통견이며 도식적으로 표현하였다. 어깨 부분에는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이고 팔꿈치부터 수직으로 길게 평행선 형태로 조각하고 아래 끝부분에서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몸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 커다란 손이다. 왼손은 가슴 앞에 세워 엄지를 구부리고 손바닥이 보이게 하였고 오른손은 아래로 내린 채 엄지를 구부리고 손바닥이 보이도록 하였다. 좌우가 바뀐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이다. 왼손 가운데의 보주가 눈에 띈다.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관련된 사연이 많다. 해암3리 옛이름 한절골, 대사동(大寺洞)의 유래가 되었다는 절과는 위치가 달라 관련성을 단정할 수 없다. 마을의 전설에 의하면 부자가 절을 없애버리는 바람에 스님들이 쫓겨날 때 곡교천을 건너가면서 부처님이 마을을 등지게 돌려놓고 가버렸다고 한다. 그 뒤부터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자주 생기게 되어 마을 사람들이 매년 음력 정월에 제사를 지내 왔다는 전설이다. 실제로 주민들은 수백 년 동안 마을의 수호신으로 받들어왔고, 몇십 년 전에는 기와를 얹은 벽돌집으로 ‘당집’을 지어 모시기도 했었다. 인주 해암리 사람으로 공주 마곡사에서 ‘대윤(大潤)’이라는 이름으로 한때 행자 생활을 했던 아버지가 논에 서 있는 미륵불을 어딘가에 잘 모시고 싶어하였기에 한의사이자 불자인 아들 배오성이 대윤사 자리를 희사하고 미륵불을 1987년 3월에 우선 옮겨 놓았다. 절 지을 준비를 하며 여러 해 동안 방치되어 있던 사이에 미륵불이 도난당했다. 3년간의 고생 끝에 국회의원을 지낸 어떤 부자의 별장에서 미륵불을 찾아서 모셔왔다. 1995년에 대윤사 대각전(大覺殿)을 완성하고 주불로 모시게 되었다. 불상이 최근에 조성한 것처럼 깨끗한 이유는 도난 당시 절도범이나 매수자가 표면을 빡빡 밀어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곡교천의 이름 중 하나인 ‘미륵천(彌勒川)’은 이 미륵불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불상의 원래 위치와 규모, 조형미 등으로 볼 때 애초에 풍수지리의 비보(裨補) 차원에서 조성된 불상일 수도 있으며, 주민들은 오랫동안 풍요와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대상으로, 자신들을 지켜주는 수호자로 여겨왔다.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되며 조형미와 역사성, 지역성을 고루 갖추고 있는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308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검색 링크

효부의령남씨정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3-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증팔
  • 규모 건물1동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려는 정·측면 1칸의 규모이며 시멘트로 방형의 기단을 구축한 다음 네 개의 기둥을 세운 후 그 위에 다시 지붕을 올렸다. 가구양식은 도리식으로 홑처마에 맞배지붕을 올렸다. 좌우의 측면에는 부채꼴 형태의 방풍판을 시설하였다. 정려의 안에는 ‘李婦 學生李培夏妻孺入宜寧南氏之門 上之二十二年壬辰三月日 命旌’이라 쓰여 진 명정 현판이 걸려있다. 한편 최초의 정려는 둥근 나무 기둥으로 세웠던 것을 1972년 4월 30일 벽돌로 기둥을 세워 철제 홍살을 둘러 중수하였다. 그러나 화재로 일부가 멸실 되었고, 이를 2005년 현재 위치로 이전 복원하면서 원형을 찾고자 하였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 552-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효부의령남씨정려 검색 링크

강학년묘역 및 묘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및 비
  • 지정일자 2021-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주강씨 복천공파종중
  • 규모 분묘1+석물2+묘비1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강학년 묘비는 탕정면 매곡리 서쪽 끝, 진주강씨 종중 묘역인 속칭 ‘강감산’에 있는 강학년의 묘역 입구에 서 있다. 근래에 세운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다. 비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인데 정면은 칸살이 좁고 측면은 칸살이 상당히 넓다. 비각 안의 강학년 묘비는 장방형 대석에 비신을 세우고 이수를 올린 이른바 비좌이수 형식이다. 화강석 대석은 윗부분의 네 변을 둥글게 다듬었다. 비신과 이수는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재질은 대리암(대리석)이다. 이수는 앞면에는 용 두 마리, 뒷면에는 한 마리의 용을 정교하고 선명하게 조각하였으며 비신의 양 측면 위 일부까지 흘러내린 듯 구름무늬를 조각했다. 비신의 앞면에는 비문이 ‘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行朝散大夫守司憲府掌令兼成均館司業姜公之墓 貞夫人韓山李氏左(증가선대부사헌부대사헌 행조산대부 수사헌부장령겸 성균관사업강공지묘 정부인한산이씨부좌)’라 해서(楷書)로 새겨져 있다. 비의 뒷면에 미수 허목(許穆, 1595~1682)이 지은 음기가 새겨져 있는데, 끝의 허목 이름 다음에 ‘찬(撰)’이나 ‘서(書)’ 대신 저(著)’라고 한 것은 허목이 비문을 짓고(찬) 행서로 글씨를 쓰기도(서) 하였기 때문이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 산61-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강학년묘역 및 묘비 검색 링크

효자 정신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1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4-03-2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풍기 1통(효암) 노인회
  • 규모 자연석 1점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처음 바위에 글을 새겼던 부분은 마모되어 확인할 수 없으나 이후 새로이 글을 새겼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天感其誠 孝子鄭信碑 霹巖賜銀’ 『온양시지』에서 벼락바위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나 실제로 언제 금석문이 최초로 새겨졌는지는 알 수 없다. 비록 바위에 처음 명문이 새겨진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 바위를 통해 효의 의미를 되새기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한다면 역사문화적 활용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 전화번호 041-536-8775
  •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풍기동 424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효자 정신비 검색 링크

- 광고 -

똑똑장소찾기 로고

상가 여행 운송 복지 교육 어린이 문화 건강 장소 모음

똑똑장소찾기 로고

상가 여행 운송 복지 교육 어린이 문화 건강 장소 모음

문의처

이메일: dokdokplac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