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2024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 전라남도 리스트
2024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 전라남도 리스트
광고자리

전라남도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전라남도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통계

문화유적 문화유적수
유형문화유적 7

전라남도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구분별 전라남도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 목록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소유주체
육우당 건조물 사유
죽림정 건조물 사유
송정사 소장 고문서 고문서 사유
호산 추원당 및 임장유 묘비 건조물 사유
수성사 건조물 사유
삼효려 건조물 사유
양달사 장군유적 건조물 국유

  • 향토문화유적명을 누르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 영암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세부 정보

육우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9-07-1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박찬기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ㅇ 육우당은 두모포 만호였던 함양박씨 박성정이 1550년 어간에 건축하여 큰아들 박준(?~1593)등 육형제가 사용하였던 정자임.ㅇ 정자 명칭이 말하여 주듯 여섯 형제의 우의를 돈독하기 위하여 지은 정자라고 전해짐. 건물의 초창 시기는 조선 선조대(1567~1608)이나 현재의 건물은 조선 후기에 크게 중수된 것으로 보임.ㅇ 내부에는 육우당(六友堂)이라고 쓰여진 현판이 걸려 있다. 이 편액의 글씨는 석봉 한호가 쓴 것으로 전해 짐. ㅇ 육우당은 방 하나에 대청마루 2칸으로 구성된 아담한 작은 규모의 정자임. 팔작지붕이 아닌 단순하고 간결한 맞배지붕으로 이 지역의 화려한 팔작지붕의 정자와 비교됨. 구림의 오랜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유적중의 하나로 지정하여 보호할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남송정길 10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육우당 검색 링크

죽림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9-07-1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현삼식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ㅇ 죽림정은 현징(玄徵, 1629~1702)이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여 지은 것으로 그의 호인 죽림옹(竹林翁)을 따라 정호(亭號)도 죽림정으로 함.ㅇ 원래 이 정자는 현재의 위치가 아닌 시종면 내동리에 있었던 취음정(就陰亭)을 현징과 종형(從兄) 유후(裕後)가 현재의 위치로 이축하였다고 전함.ㅇ 현재의 위치에 처음 건립된 년대는 현징의 관직 경력과 ‘竹林亭’이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편액(篇額)과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의 죽림정기(竹林亭記)가 모두 1678년에 쓰여진 것으로 미루어 그 어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 됨.ㅇ 죽림정은 350여년을 지내오면서 여러 차례 개보수가 있었으나 일부에서는 건립 당시의 부재(기단, 초석, 기둥, 마루 등)도 볼 수 있음. 한때 이 건물 좌우측으로 방과 부엌 등을 잇대어 살림집으로 사용한 적도 있었으나 1959년경 본래의 모습(현재)을 찾아 오늘에 이르고 있음.ㅇ 한편 마루에서 방으로 통하는 문이 좌측에 있었으나 당시에 현재와 같이 중앙으로 변경되었다. 죽림정에는 현재 죽림정기 등 모두 13개의 현판이 걸려 있음.ㅇ 죽림정은 역사적 사실이 기록에 의해 비교적 정확히 이어져 내려오는 유서 깊은 정자 임. 건축적으로도 측면으로 방 1칸이 드려지는 이 지역의 ‘마루+방’형의 규범을 잘 따름. 규모에서는 수장집 정도로 간결하고 아담 함.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죽정서원길 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죽림정 검색 링크

송정사 소장 고문서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 지정일자 2012-05-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상회
  • 규모 146책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ㅇ 송정사 고문서는 총 146점으로 홍패 2, 고신 11, 공명첩 1, 소지 20, 준호구 14, 호구단자 78, 분재기 9, 차첩 1, 품고 1, 매매명문 9점임.ㅇ 영암의 중요 성씨 중의 하나인 밀양 김씨가의 영암 입향과정, 정착, 성장등을 살펴볼 수 있는 문서임.ㅇ 오랜 기간인 300여 년간의 문서가 남아 있어 영암의 조선후기 향촌 사회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임.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송정길 23-2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송정사 소장 고문서 검색 링크

호산 추원당 및 임장유 묘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7-08-08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임경렬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 나주 임씨는 임비를 원조로 하여 9세 임탁이 해남 감무를 지내다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벼슬을 버리고 회진에 낙향, 세거하게 되면서 연유하게 됨.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4명, 무과 급제자 74명을 배출한 대표적인 전남의 토속 성씨중의 하나로 이웃한 나주와 함께 도내에서는 많은 임씨들이 거주하고 있는 곳이기도 함.○ 나주임씨는 전통 있는 성씨답게 추원제에 모여 매년 음력 10월 14일에 전 종원들이 모여 시제를 지내고 있으며○ 추원제는 1868년 건축된 이후 기둥을 제외하고 완벽하게 원형을 보존하고 있어 문화재적인 가치도 크며, 묘비 역시 일반적인 판석형태의 묘비가 아닌 정사각형의 묘비로 이 지역에서는 보기드믄 형태로 미술사적인 가치도 있음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호산로 562-57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호산 추원당 및 임장유 묘비 검색 링크

수성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9-07-1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수성사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ㅇ 수성사는 1538년(중종 33)에 현 영암군청 부근에 설립되어 60세 이상의 전관리·사민·학자들의 수양처로서 일종의 경로당과 같은 기능을 함. ㅇ 수성사라는 액호는 1655년(효종 6) 향토민의 귀감이 되는 장소라 하여 조정에서 하사한 것으로 전 함. ㅇ 열무정(문자 제160호)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사포계가 조직되었는데 사포계의 계장을 수정사의 사장이 겸임함. ㅇ 김자점(金自點)의 후예가 영암에서 수년간 은거생활하다가 복권되어 귀경하면서 본사의 운영취지와 규약에 감동하여 현재 위치에 沓80두락, 田8두락을 수성사에 희사하여 운영 재원을 확보하게 됨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남문밖길 9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수성사 검색 링크

삼효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9-07-1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신정현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ㅇ 평산신씨 문중의 삼효려는 신대유(1780~1850 申大有 자는 희백(希伯)), 신직(1971~1867 申織 자는 항지(恒之)) 신경(1795~1854 申經 자는 국지(國之))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1870년 9월 25일 호남 향교 4개소의 답통을 받아 영암향교에서 세운 정려 임.ㅇ 삼효려와 관련된 고문서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보존 가치가 큰 유산 임.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495-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삼효려 검색 링크

양달사 장군유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제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08-22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영암군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 양달사 장군 유적은 양달사 관련 설화에 나오는 장독샘(將纛泉)과 시묘* 유적이다. 양달사[1518~1555]의 자는 도원(道源)이고 호는 남암(南岩), 본관은 제주이다. 제주 주부(濟州主簿)를 지낸 양승조와 청주 한씨 사이에서 도포면 봉호정에서 태어난 양달사는 1537년(중종 32)에 무과에 급제하고, 전라좌우우후(全羅左右虞侯)와 진해 현감을 지냈다. 그 뒤 1553년(명종 8)에 남해 현감에 재임 중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시묘 중이었는데, 1555년(명종 10)에 을묘왜란이 일어났다. 이에 양달사는 충효일체(忠孝一體)*라 하여 자신의 형제들과 함께 의병을 모아서 대승을 거두었다. 그럼에도 상중이었다는 이유로 스스로 공을 낮추고 모든 공훈을 전라순찰사 이준경, 남치근 등에게 돌려 아무런 포상을 받지 않았다. 1555년 12월 명종실록에 보면 조정의 포상에서 양달사가 제외된 것을 두고 장흥부 관아 벽에 양달사에게 포상이 없음을 개탄하는 시가 나붙었다는 사초*와 송촌 양응정의 편지, 호남절의록, 호남읍지 등을 근거로 영암을 대표하는 의병장이다. 장독샘은 을묘왜변 당시 왜구와의 싸움으로 병사들이 지쳐있을 때 양달사 장군이 장독으로 한 곳을 가리키자 그곳에서 물이 솟아올라 병사들이 다시 힘을 내서 싸울 수 있었다는 전설이 깃든 샘이다. 역사적인 기록은 없으나 1953년부터 1958년 사이에 독립운동가 조극환 등이 작성한 영암군 향토사 원고에 그 기록이 남아 있고, 1971년 3월 영암군수 김기회가 향리의 많은 군민들과 전설들을 확인하여 직접 지은 창의장 양달사 공적비가 그 자리에 서 있으며, 이후 영암 향토지와 영암군지 등에 장독샘에 대한 전설이 다수 실려 있다. 전쟁이 끝난 후 양달사는 시묘살이를 계속했고 3년간의 시묘를 마쳤으나 전쟁 때 부상당한 여독을 뿌리 뽑지 못해 41세 되던 1559년에 결국 창독*으로 사망하였다. 양달사가 사망한 뒤에야 이 사실이 알려져 그가 사망한 뒤 100년 만인 현종 때 좌승지로 추증되고 충신으로 정려되었다. 장독샘 옆에 건립된 양달사 공적비는 이런 양달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자, 양달사의 의로운 행적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 전화번호 061-470-2199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영암군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10-26
  •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동무리 137-7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양달사 장군유적 검색 링크

- 광고 -

똑똑장소찾기 로고

상가 여행 운송 복지 교육 어린이 문화 건강 장소 모음

똑똑장소찾기 로고

상가 여행 운송 복지 교육 어린이 문화 건강 장소 모음

문의처

이메일: dokdokplac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