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2024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 대구광역시 리스트
2024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 대구광역시 리스트
광고자리

대구광역시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통계

문화유적 문화유적수
무형문화유적 2
유형문화유적 10

대구광역시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구분별 대구광역시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무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 목록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소유주체
모필장 공예 사유
영제시조 음악 사유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 목록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소유주체
대구읍지 서적 사유
허암유고 서적 사유
삼국사기 서적 사유
북정록 서적 사유
삼경합부 서적 사유
천사일로일기 서적 사유
사조선록 상 서적 사유
소수서원 관련 고문서 서적 사유
신당동석장승 조각 사유
대구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서적 사유

  • 향토문화유적명을 누르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세부 정보

모필장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유산 제1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
  • 지정일자 2004-06-1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인훈
  • 규모 1인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모필장(毛筆匠)은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인 붓을 만드는 사람과 그 기술을 말한다. 붓은 붓털과 붓대, 붓뚜껑으로 이루어지는데 붓털의 재료로는 양, 사슴, 토끼, 족제비, 호랑이, 노루 등의 털이 사용되며, 붓의 대는 대나무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금·은 조각을 새긴 장식붓대와 옥, 상아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붓의 제작과정은 붓의 핵심인 붓털에서 시작된다. 붓털은 털이 빳빳하고 뾰족한 것, 털이 많으며 가지런한 것, 털 윗 부분이 끈으로 잘 묶여서 둥근 것, 오래 써도 털에 힘이 있는 것이 기본 조건이다. 이인훈 보유자는 할아버지로부터 삼대에 걸쳐 붓을 가업으로 만들고 있다. 이인훈 보유자가 처음 기술을 습득 할 때에는 대나무 자르기, 털 벗기기, 풀 먹이기 등을 시작하였다. 그가 만든 붓 중에는 특히 족제비 꼬리털로 만든 황모붓과 암노루 겨드랑이털을 사용한 장액붓이 우수하며 그 밖에도 청모필, 양모필, 죽필 등을 제작하고 있다. 그의 모필 제작기법은 특수하고 희소하여 지역 모필 제작기법의 전승 및 연구에 있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마로36길 20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모필장 검색 링크

영제시조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유산 제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음악
  • 지정일자 1990-05-1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박선애
  • 규모 1인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시조창은 시조시(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를 가사로 하여 노래부르는 것을 말하며, ‘시절가’, ‘시절단가’, ‘단가’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영조(재위 1724∼1776) 때 학자 신광수의『석북집』「관서악부」로 이세춘이 시조에 장단을 붙였다는 시가 나온다. 순조(재위 1800∼1834) 때 간행된『유예지』와『구라철사금자보』에서는 시조의 악보가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 후 가곡의 영향을 받아서 시조곡조가 보급됨에 따라 지역적 특징을 지니고 나뉘게 되었다. 영제시조는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시조창이다. 평시조와 사설시조가 가장 많고, 뚝뚝 끊어지게 불러서 경상도 특유의 액센트가 강하게 나타나며, 씩씩하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악기 없이 장구나 무릎장단으로 일시적 연주를 하기 때문에 초장과 중장, 끝장단에서 5박자가 줄어들기도 한다. 음계는 3음의 계면조(슬프고 처절한 느낌을 주는 음조)와 5음의 우조(맑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 음조)로 되어있다. 영제시조는 “영남시조가 좋다”라는 말에서 “영판좋다”라는 속담이 생겨날 정도로 음악성이 뛰어나며, 점잖고 격조가 높아 궁중에서까지 소중히 여기던 시조창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른 지역의 시조창에 비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어서 무형문화유산로 지정하여 보호하게 되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마로40길 21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영제시조 검색 링크

대구읍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5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0-01-2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1책
  • 조성시대 1768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책은 1768년(영조 44)에 대구부에서 편성한 필사본 읍지로, 현재 전하고 있는 『대구읍지』 가운데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내용은 建置沿革, 郡名, 官職, 姓氏 山川, 坊里 등을 포함하여 學校, 先生案, 科擧, 人物, 題詠, 碑板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전체 장수는 100장이다. 이 가운데 선생안에는 營先生案(관찰사), 邑先生案(대구부사, 대구판관)과 都事, 營將 등의 명단이 실려 있다. 영선생안에는 1078년(고려 문종 32)에 都部署使였던 李濟元을 포함하여 1767년(영조 43)의 경상도관찰사 趙暾까지 명단이 실려 있는데, 죄를 받았던 관찰사 鄭造, 李師尙, 金尙魯 등의 성명에는 사각으로 표시되어 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대구읍지 검색 링크

허암유고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7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3-10-3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3권 1책
  • 조성시대 1511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책은 1511년(중종 6)에 간행된 정희량과 이황의 숙부 이우가 함께 간행한 詩집으로 수록 내용을 후대 간본과 비교하면, 詩의 수록 순서가 바뀌거나 편차를 재구성하기 이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초간본의 이러한 점은 당시 인물에대한 시대 인식이나 저자의 의도를 가장 근접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허암유고 검색 링크

삼국사기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7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7-01-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6책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책은 고려 인종의 명으로 김부식 등이 편찬한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서로, 1711년 숙종이 아들로 후에 영조가 되는 연잉군(延잉君, 1694-1776)에게 하사한 내사기(內賜記)가 있어 분명한 간행연도를 알 수 있다. 조선시대 5차례 있었던 삼국사기 간행 중 마지막에 있었던 18세기의 현종실록자(1677년『현종실록』을 인출하기 위해 만든 동활자)로 간행한 책으로 전래본이 비교적 많으나 영조가 소장한 서책이었다는데 중요한 학술적 의의가 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삼국사기 검색 링크

북정록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7-01-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1책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책은 신유(申瀏, 1619-1680)가 조선 효종 때 제2차 나선(Russian)정벌의 조선군 사령관으로 참전했을 때인 1658년 4월6일부터 8월27일까지 115일간 기록한 원정일기의 원본이다. 해외파병 관련 기록으로 외교와 군사연구의 중요한 문헌일 뿐만 아니라, 출정의 전말, 각지에서 차출된 명단, 날짜별 날씨·행군·야영·러시아군과 벌인 전투상황 및 부하의 상태 등을 기록한 점에서 국방과 관련된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북정록 검색 링크

삼경합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9-01-3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1책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삼경합부』는『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예문』등의 3경을 합해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찍은 15세기 후기의 인출본이다. 을유자는『원각경』을 간행하기 위하여 1465년(세조11)에 정난종의 글씨를 자본으로 삼아 만든 금속활자이다. 그러나 글자체가 바르지 못하여 1484년(성종15)에 갑진자를 주조하기 전까지 약 20년간 사용되어 인본은 많지 않다. 을유자로 인출된 『삼경합부』는 계명대학교 외에 구미 자비사(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382호)를 비롯하여 5점 정도가 국내에 남아 있을 뿐이다. 이 판본은 거의 전하지 않아 희귀하고 완질본으로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조선 전기의 불교사와 인쇄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삼경합부 검색 링크

천사일로일기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9-01-3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1책(55장)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천사일로일기』는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관원의 일기(遠接使日記) 가운데 하나로, 중국측 사행단이 1536년 2월 20일 압록강을 건너올 때부터 4월 8일 압록강을 건너갈 때까지 48일간의 기록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원접사일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며, 필사본 원형을 대체로 잘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 사신 행차를 대상으로 한 중국 측 기록 『사조선록(使朝鮮錄)』과 사신 행차 기간 동안 양측이 주고받은 시를 기록한『황화집(皇華集)』에 당시의 시 일부가 함께 남아 있어서 특정 사신 행차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따라서 조선전기 대명외교와 외교전례 및 관련 문화적 상황을 파악하는데 큰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천사일로일기 검색 링크

사조선록 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9-01-3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1책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사조선록』은 명나라의 공용경(공用卿)이 1537년(중종32) 조선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출발에서 귀환까지 사행의 행적과 의식 수행 등 전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계명대학교 소장본은 그 중 상권이다. 이 책은 1537년경 국내에서 금속활자인 ‘갑진자’로 찍은 것으로, 수록된 내용은 다른 책자에서 발견하기 어려우며 이후 명나라에서 파견되는 사신과 이들을 접대하는 조선 관리가 모두 중요하게 참고한 책이었다. 사신의 출발과 외교 관계와 관련된 내용 서술이 특히 자세하여 조선전기 중국 사신의 국내 행적과 의식 수행 현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동일한 사행을 두고 조선에서 작성한 일기인『천사일로일기』와『황화집』의 일부가 남아 있어서 조선전기 명나라 사신의 구체적인 행적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을 가능하게 해 준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사조선록 상 검색 링크

소수서원 관련 고문서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9-01-3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계명대학교
  • 규모 3종 6책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경북 영주시 소재 소수서원은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국가적인 지원으로 토지와 노비, 서적을 지급받을 수 있었다. 초창기에 제정한 원규(院規)에 규정된 서원의 기능은 제사를 경건히 봉행할 것(謹祀), 어진 이를 예우할 것(禮賢), 사당을 잘 보수할 것(修宇), 물자를 비축할 것(備축), 서책을 점검할 것(點書)이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하였고, 그 관련 기록도 남겼는데 계명대학교에는 그 가운데 물자를 비축할 것(備축), 서책을 점검할 것(點書)과 관련된 문서 3종인 전답안(田畓案) 1책, 노비안(奴婢案) 3책, 서책록(書冊錄) 2책이 소장되어 있다. 소수서원은 사액서원으로서 재산소유와 경영에 관한 서류 및 서적은 관할인 풍기군 혹은 순흥부의 확인과 점검을 받아야 했다. 따라서 전답안과 노비안은 면마다 관인이 날인되어 있고, 말미에 관인과 부사의 서압(署押)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관아에서 사액서원의 재정현황에 대해 정기적으로 관리하고 감독한 사실을 볼 수 있다. 노비안과 전답안은 소수서원의 운영과 재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사회사 및 노비사 연구에도 필수불가결의 자료이다. 서원에서 수장하고 있던 서적은 거의 흩어져 없어지고 서목(書目)을 통해서만 서적의 규모를 알 수 있는데 이들 서책록 2책은 소수서원 장서와 관리 실태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소수서원 관련 고문서 검색 링크

신당동석장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유산 제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1986-12-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양도 외 3인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마을 입구에 서 있는 돌장승이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보통 몸체에 그 역할을 나타내는 글을 새겨 그것에 따라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장승에는 이러한 기록이 없으며, 마을사람들에 의해 ‘장승비’라 불리우고 있다. 장승은 네모난 돌기둥을 다듬어 한 면에 얼굴을 새겨 두었다. 기둥 정상에는 모자 모양을 새기고, 얼굴에는 눈썹·눈 ·코·입을 새겨 놓았는데, 입은 약간 웃는 듯한 모습이며, 코는 약간 떨어져 나갔다. 손에는 여의주봉을 들고 있어 일반적인 장승과는 다른 모습이다. 기둥 정상의 모자 조각으로 보아 문관의 형상으로 보이나, 얼굴 각 부분의 표현이 소박하고 자비스러운 이미지를 풍기고 있어 미륵형 장승으로 보이기도 한다. 장승은 가슴에 새기는 기록과 생김새, 서 있는 자리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갖는데 이 장승의 경우, 코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여의주봉을 들고 있는 외형상의 특징으로 보아 장승의 눈이나 코를 달여 먹으면 임신이 된다는 속설에 따라 아이 낳기를 원하는 여자들이 복을 빌던 대상이 되었거나, 잡귀나 질병으로부터 마을 전체를 보호하는 수호신으로서의 기능을 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더불어 장승이 마을 입구에 자리하고 있고, 이 마을의 터가 예전에는 절의 입구였다고 전하는 것으로 보아, 마을의 보호와 함께 사찰 경내의 경건함을 지키는 수호역할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돌장승이 많이 존재하지 않는 대구 지역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장승신앙의 한 형태로 남아 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67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신당동석장승 검색 링크

대구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7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 지정일자 2016-03-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보성선원
  • 규모 55종 550점
  • 조성시대 17세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는 보성선원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인 석가여래, 좌우 문수ㆍ보현보살상(보물 제1801호)에 납입되었던 서적이다. 불상은 조성발원문을 통해 1647년(인조 27) 조각승 玄旭이 조성한 것으로 판명되어 201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아울러 복장되었던 발원문 등 복장전적이 동시에 보물 제1802호로 지정되었다. 당시에 보물로 지정되지 못한 불경도 모두 1635년(인조 13)년 이전에 인출되었다. 모두 불상조성(1647)보다 앞서 병자호란(1636) 이전에 인출되었으므로 일괄해서 유형문화유산로 지정해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
  • 전화번호 053-667-2194
  •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로8안길 35
  • 네이버맵 네이버맵 링크
  • 카카오맵 카카오맵 링크
  • 네이버 대구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검색 링크

광고자리

대구광역시목록

- 광고 -

똑똑장소찾기 로고

상가 여행 운송 복지 교육 어린이 문화 건강 장소 모음

똑똑장소찾기 로고

상가 여행 운송 복지 교육 어린이 문화 건강 장소 모음

문의처

이메일: dokdokplace@naver.com